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바램’일까, ‘바람’일까?

“꼭 취업이 됐으면 하는 게 간절한 바램이다”와 같이 소망이나 희망 등을 이야기할 때 ‘바램’이라는 낱말을 많이 쓴다.  그러나 ‘바램’은 틀린 표현이며 ‘바람’이라고 해야 바르다.   생각이나 소망대로 어떤 일 또는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한다는 의미를 지닌 단어는 ‘바래다’가 아니라 ‘바라다’이며, ‘바라다’를 명사형으로 만들면 ‘바람’이 된다.   ‘바램’은 ‘바래다’를 명사형으로 만든 형태다. ‘바래다’는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한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낱말이다. 따라서 ‘바램’은 “이 옷은 이미 색 바램이 심해져 더 이상은 못 입겠다” 등처럼 쓸 수 있다.   “나는 네가 행복해지길 바래”에서와 같이 ‘바라다’를 ‘바래’라고 활용해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역시 잘못된 표현으로 “행복해지길 바라”에서와 같이 ‘~길 바라’ 형태로 써야 한다.   ‘바라다’의 어간 ‘바라-’에 어미 ‘-어/아’가 붙으면 ‘바라아’가 된다. 모음 ‘ㅏ, ㅓ’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릴 때에는 줄어든 대로 적는다는 맞춤법 규정에 따라 ‘바라아’는 줄어든 형태인 ‘바라’로 쓰인다. 정리하면 소망과 기원을 나타낼 때는 ‘바램’ ‘바래’가 아니라 ‘바람’과 ‘바라’를 써야 한다.우리말 바루기 맞춤법 규정

2024-06-03

[우리말 바루기] ‘바램’일까, ‘바람’일까?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올 한 해를 되돌아보고 새해 희망과 다짐을 얘기하는 등의 글이 SNS에 많이 올라온다. 소망이나 희망 등을 이야기할 때 ‘바램’이라는 낱말을 많이 쓴다.  그러나 ‘바램’은 틀린 표현이며 ‘바람’이라고 해야 바르다.   생각이나 소망대로 어떤 일 또는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한다는 의미를 지닌 단어는 ‘바래다’가 아니라 ‘바라다’이며, ‘바라다’를 명사형으로 만들면 ‘바람’이 된다.   ‘바램’은 ‘바래다’를 명사형으로 만든 형태다. ‘바래다’는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한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낱말이다. 따라서 ‘바램’은 “이 옷은 이미 색 바램이 심해져 더 이상은 못 입겠다” 등처럼 쓸 수 있다.   “나는 네가 행복해지길 바래”에서와 같이 ‘바라다’를 ‘바래’라고 활용해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역시 잘못된 표현으로 “행복해지길 바라”에서와 같이 ‘~길 바라’ 형태로 써야 한다.   ‘바라다’의 어간 ‘바라-’에 어미 ‘-어/아’가 붙으면 ‘바라아’가 된다. 모음 ‘ㅏ, ㅓ’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릴 때에는 줄어든 대로 적는다는 맞춤법 규정에 따라 ‘바라아’는 줄어든 형태인 ‘바라’로 쓰인다. 정리하면 소망과 기원을 나타낼 때는 ‘바램’ ‘바래’가 아니라 ‘바람’과 ‘바라’를 써야 한다.우리말 바루기 새해 희망 맞춤법 규정

2023-12-06

[우리말 바루기] ‘님’일까, ‘임’일까?

물망초 꿈꾸는 강가를 돌아 달빛 먼 길 님이 오시는가/갈숲에 이는 바람 그대 발자췰까/흐르는 물소리 님의 노래~   우리 가곡 ‘님이 오시는지’의 일부다. 언제 들어도 가슴을 저미는 곡으로 가사도 아름답다. 여기에서 ‘님’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일까? 구구절절이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넘쳐 나는 것을 보면 ‘님’은 당연히 사모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사전을 찾아보면 ‘님’은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로 ‘씨’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고 풀이돼 있다. ‘홍길동 님’ ‘길동 님’ 등처럼 사용한다. 또한 ‘님’은 ‘사장님’ ‘총장님’처럼 직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쓰여 높임을 나타내는 접미사로도 사용된다.   그렇다면 ‘님이 오시는지’에서의 ‘님’은 위의 뜻풀이와 일치하는 게 없다. 왜 그럴까? 사모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말은 ‘님’이 아니라 ‘임’이기 때문이다. ‘님’은 ‘임’의 옛말(고어)이며, 지금은 사모하는 사람의 뜻으로는 ‘임’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 따라서 현재 규정에 맞게 쓰려면 ‘임이 오시는지’로 표기해야 한다.   민중가요로 알려진 ‘임을 위한 행진곡’도 1981년 작곡 당시에는 ‘님을 위한 행진곡’으로 제목을 달았으나 최근에는 맞춤법 규정에 맞추어 ‘임을 위한 행진곡’으로 불리고 있다.   ‘님의 노래’ ‘님에게로 가는 길’ ‘님을 향한 연가’에서의 ‘님’도 모두 ‘임’으로 바꿔야 한다. 우리말 바루기 맞춤법 규정 현재 규정 작곡 당시

2023-11-06

[우리말 바루기] ‘햇사과’, ‘해팥’, ‘햅쌀’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다. 햇사과·햇밤뿐 아니라 해팥·해콩 등 온갖 햇과일과 햇곡식이 쏟아져 나온다.   이처럼 ‘당해에 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햇’을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해팥’과 ‘해콩’에서와 같이 ‘햇’이 아니라 ‘해’가 쓰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둘은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나 거센소리(ㅊ, ㅋ, ㅌ, ㅍ)로 날 경우엔 ‘햇-’이 아닌 ‘해-’를 쓰도록 돼 있다. 따라서 ‘사과’ ‘밤’ ‘과일’ ‘곡식’은 단어의 첫머리가 각각 ‘ㅅ’ ‘ㅂ’ ‘ㄱ’ 등으로 거센소리나 된소리가 나는 것이 아니므로 ‘햇사과’ ‘햇밤’ ‘햇과일’ ‘햇곡식’ 등과 같이 ‘햇-’으로 적는 것이다.   반면에 ‘팥’과 ‘콩’의 경우엔 단어의 첫머리가 ‘ㅍ’과 ‘ㅋ’, 즉 거센소리로 시작하고 있으므로 ‘햇’이 아닌 ‘해’를 붙여 ‘해팥’ ‘해콩’이라고 해야 한다.   그럼 그해에 새로 나온 쌀은 뭐라고 해야 할까?  ‘해쌀’도, ‘햇살’도 모두 바른 표기가 아니다. 바른 표기는 ‘햅쌀’.   그 이유는 ‘쌀’의 어원에서 찾을 수 있다. ‘쌀’은 원래 중세 국어에서 단어의 첫머리에 ‘ㅂ’이 있던 단어다. 이 ‘ㅂ’이 음가를 갖기 때문에 ‘해쌀’이나 ‘햇쌀’이 아닌 ‘햅쌀’로 표기한다.우리말 바루기 햇사과 햅쌀 맞춤법 규정 중세 국어

2023-10-16

[우리말 바루기] ‘부기’, ‘붓기’

아침마다 얼굴이나 다리가 부어 고생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몸이 자꾸 붓는다는 것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다는 표시라고 한다. 부종은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건강의 이상 신호라는 점에서 예방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인터넷에는 부종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언급하는 글이 많다. 그 가운데는 “아침마다 붓는 얼굴, 붓기 빼는 법” “다리 붓기에 효과적인 마사지를 소개합니다” 등에서와 같이 부종으로 인해 부어 있는 상태를 가리킬 때 ‘붓기’라는 말을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의 ‘붓기’는 ‘부기(浮氣)’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살가죽이나 어떤 기관이 부풀어 오른다는 의미의 단어가 ‘붓다’이다 보니 부어오른 상태를 표현할 때도 ‘붓다’의 어간 ‘붓-’에 명사를 만드는 접사 ‘-기’를 붙여 ‘붓기’가 됐다고 생각해 ‘붓기’로 잘못 쓰는 것으로 생각된다.   맞춤법 규정에는 ‘한자어+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고 돼 있다. ‘부기(浮氣)’는 한자어로만 이루어진 단어이므로 사이시옷을 넣지 않은 ‘부기’가 바른 형태다. 따라서 "부기 빼는 법"이라고 해야 한다.   ‘붓기’는 ‘부어오른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로 쓸 수는 없지만 ‘붓다’의 활용형으로서 동작을 나타낼 땐 가능하다. "벌레에 물린 다리가 붓기 시작했다" "저녁에 짠 음식을 먹고 자면 아침에 얼굴이 붓기 쉽다"등은 모두 ‘붓다’를 활용한 표현이다. 부어오른 상태가 아닌 부어오르는 동작을 의미하는 표현이므로 이때는 ‘붓기’를 사용하는 게 바르다.우리말 바루기 붓기 얼굴 붓기 다리 붓기 맞춤법 규정

2023-09-14

[우리말 바루기] ‘바라’, ‘바래’

연말이면 문자 메시지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내년에도 항상 건강하길 바래요” 등과 같은 덕담을 주고받는다. 그런데 여기엔 잘못된 표현이 숨어 있다.   어떤 일의 상태가 생각이나 바람대로 이루어지길 기원할 때 이처럼 ‘~길 바래’ 또는 ‘~을 바래’라고 쓰곤 한다. 그러나 ‘바래’는 틀린 표현으로, ‘바라’로 고쳐야 한다.   이런 뜻으로 쓰이는 단어는 ‘바래다’가 아니라 ‘바라다’가 바른말이기 때문이다. ‘바라다’의 어간 ‘바라-’에 어미 ‘-어/아’가 붙으면 ‘바라아’가 된다. 모음 ‘ㅏ, ㅓ’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는 맞춤법 규정에 따라 ‘바라아’는 줄어든 형태인 ‘바라’로 쓰이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즐거운 방학 보내길 바라”에서와 같이 ‘바라’라고 써야 한다.   ‘바라다’를 명사형으로 표현할 때도 “나의 바램은~”과 같이 ‘바램’이라고 잘못 쓰기 쉽다. 그러나 이 역시 ‘바라다’의 어간 ‘바라-’에 ‘-ㅁ’을 붙여 명사형을 만들어 주면 되므로 ‘바람’이라고 해야 한다.   ‘바래다’는 “누렇게 바랜 편지”에서처럼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변색을 의미할 땐 ‘바래다’, 소망을 의미할 땐 ‘바라다’를 쓴다고 기억하면 된다.우리말 바루기 문자 메시지 맞춤법 규정

2022-12-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